충치 치료 후 찜찜하거나 시릴 때 대처법 – 20대 중반 치과위생사가 알려주는 진짜 원인과 해결법
충치 치료 후 대처법 안녕하세요. 서울에서 근무 중인 20대 중반 치과위생사입니다. 충치 치료를 하고 나면 대부분은 “이제 다 끝났다”는 안도감이 들죠. 그런데 어떤 분들은 치료가 끝났는데도 이런 말씀을 하세요. “씹을 때 좀 찜찜해요.” “차가운 물 마시면 시려요.” “치료한 쪽으로는 잘 못 씹겠어요.” 치료가 잘 끝났는데 왜 이런 증상이 생기는 걸까요? 문제가 있는 걸까요, 아니면 시간이 지나면 나아지는 걸까요? 오늘은 충치 치료 후 시림, 찜찜함, 민감한 느낌 에 대해 치과위생사로서 진료실에서 자주 설명드리는 이야기 를 하나하나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충치 치료 후에도 시리거나 찜찜한 이유는? 충치 치료는 보통 ① 충치 부위를 제거하고 ② 레진이나 인레이, 크라운 등으로 메우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런데 충치가 깊었거나, 신경 가까이까지 진행됐던 경우에는 치료 이후에도 일정 기간 민감함이나 시림이 남는 경우 가 있어요. 이건 크게 3가지 원인으로 나뉩니다. 1. 깊은 충치 치료 후 신경이 예민해진 경우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치아의 신경(치수)은 굉장히 민감한 조직인데, 깊은 충치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신경 가까이까지 자극이 가해졌다면 치료 후 일시적으로 시리거나 뻐근한 느낌이 생길 수 있어요. 이럴 경우에는 2~4주 정도 지켜보는 것이 원칙 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분들이 이 기간 안에 증상이 점점 줄어들고 사라지게 됩니다. 하지만 시림이 갈수록 심해지거나, 뜨거운 것에도 민감해지고, 밤에 욱신거린다면 신경 염증(치수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반드시 다시 치과를 방문하셔야 해요. 2. 교합(물리는 면)의 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 레진이나 인레이 치료 후 “씹을 때만 찜찜해요”라는 말씀을 하시는 분들이 계세요. 이런 경우, 보철물의 높이가 약간 높게 들어간 것 일 수 있어요. 치아는 0.1mm의 차이도 민감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조금만 높아도 씹을 때 압박감이나 찜찜함이 생깁니다. ...